일상에 활용되는 페트병과 캔이 인테리어 소품으로 재탄생하는 영상을 본 적이 있으실 겁니다. 누구나 한 번쯤은 만들어보고 싶을 정도로 예쁘고 멋진 핸드 메이드 아이템이 많은데요. 오늘은 집에서도 쉽게 만들 수 있는 식물 인테리어 소품을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그리너리 트렌드를 따라가기 위해 식물을 심는 분들이 많기 때문에 개성 있는 화분을 만들어 본다면 더할 나위 없이 좋겠죠? 주변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캔과 페트병으로 생기 도는 인테리어를 한 번 꾸며보시기 바랍니다!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음료수 캔 화분
가장 만들기 쉽고, 예쁜 디자인을 자랑하는 재료로 음료수 캔을 추천해 드립니다! 음료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느낌을 줄 수 있는데요. 오늘은 빈티지한 느낌을 내기 위해 코카콜라 캔으로 만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음료수 캔으로 화분을 만들 때 손이 베일 수 있으므로 꼭 장갑을 착용하시기 바랍니다!
1. 음료수 캔의 1/5 부분을 잘라주는데, 송곳으로 자를 위치를 미리 뚫고 가위를 사용하면 쉽게 자를 수 있습니다.
2. 음료수 캔 바닥에 송곳으로 구멍을 뚫어줍니다. 6~8개의 구멍이 적당하며, 구멍으로 흙이 빠져나갈 수 있으므로 망을 깔아 덮어줍니다.
3. 화분 준비는 다 끝이 났으니 이제부터 다육 식물을 심어줄건데요. 분갈이하기 전에 자갈을 깔아줍니다.
4. 흙을 적당히 올리고, 분갈이할 다육식물을 심어주면 음료수 캔 화분 완성! 식물에 물을 줄 때는 화분 받침대를 깔아줘야 한다는 점, 잊지 마세요!
기다란 식물을 키울 #감자 칩 통 화병
이번에는 음료수 캔 화분만큼 쉬운 화병 만들기인데요. 조금 더 기다란 식물을 심고 싶거나, 높낮이를 다르게 하여 인테리어에 신경 쓰고 싶은 분들에게 추천해 드리는 감자 칩 통으로 만드는 화병입니다!
1. 먼저 감자 칩 빈 통의 입구를 잘라줍니다. 생각보다 두꺼워 모양이 예쁘지 않게 잘리겠지만, 감자 칩 통을 시트지로 덮을 것이기 때문에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2. 준비한 시트지를 감자 통의 가로, 세로 길이에 맞춰 잘라줍니다. 입구 부분은 덮을 수 있도록 1cm의 여분을 남겨주는 센스가 필요합니다!
3. 공기 방울이 생기지 않도록 조심스럽게 붙여주면 아주 간단하고 심플한 화병 완성입니다! 화병에 그림을 그려 넣어도 좋고, 알록달록 스티커를 붙여 나만의 화병에 예쁜 꽃을 피워보시기 바랍니다!
실용성 백 점 만점의 #페트병 화분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 실용성이 무궁무진한 페트병으로 이번에는 화분을 만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음료수 캔 화분과는 다르게 식물에 물을 줘도 받쳐주기 때문에 번거로움이 없는 화분이니, 꼭 한 번 만들어보시기 바랍니다!
1. 페트병의 1/3 윗부분을 가위로 잘라줍니다.
2. 천을 면사포로 감싸 페트병 입구 부분에 넣어줍니다. 이때, 면사포를 펴서 천과 면사포가 빠지지 않도록 해줍니다. 면사포의 역할은 흙이 밑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입니다. 잘라낸 페트병은 사진처럼 끼워 고정해주면 페트병 화분 완성!
3. 흙을 쌓아 올리고, 다육식물을 심어줍니다. 그리고 밑에 물을 넣어주면 천이 물을 빨아들이는 신기한 화분이 완성됩니다. 다육식물은 물이 없어도 잘 자라는 식물이기 때문에 물을 많이 주실 필요는 없답니다.
참치 캔으로 만드는 #화분 받침대
실내에 화분을 둘 때, 밑에 뚫린 구멍으로 물이 흘러나오면 안 되므로 꼭 필요한 것이 화분 받침대입니다. 참치 캔으로 만들 수 있는 아주 간단한 화분 받침대를 보여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참치 캔을 비누로 깨끗하게 씻어 기름기를 제거해줍니다.
2. 두꺼운 골판지를 참치캔의 길이에 맞게 오려줍니다.
3. 참치 캔에 첩착제를 바르고 골판지를 둘러싸 주면 아주 간단하고 예쁜 화분 받침대 완성!
직접 만들기 쉽고, 예쁜 식물 인테리어 소품를 모두 알려드렸습니다! 앞에서 본 것처럼 재활용품을 이용해 소품을 만들면 우리의 삶과 지구에 생기를 불어넣어 줄 수도 있습니다. 또한 친환경적이고 자신만의 개성이 담긴 멋진 화분을 사용한다면 더욱 의미가 있겠죠? 이제는 재활용품을 버리기 전에 다시 한 번 관심을 가져보는 것은 어떨까요? 버리면 쓰레기가 되지만, 당신의 손을 거쳐가면 누구도 가질 수 없는 자신만의 멋진 소품으로 재탄생할 것입니다.
* 이 콘텐츠의 모든 저작권은 한화케미칼 공식 블로그 케미칼드림에 있습니다.